가난의 대물림은 왜 발생하는가

깡이 아빠 웹 사이트에서 naver 날짜에 2023-4-13
<독서 후 남기고 싶은 부분만 발췌, 기록한 일기> 일자 : 376일차(4/13) 책 : 계층 이동의 사다리 저자 : 루비 페인 독서 : 4~ 90 가난은 무엇인가 그리고 왜 대물림되는가 가난하다는 뜻은 어떤 걸까? 절대적인 수치가 있을까? 한참 유행했던 수저론처럼 특정 기준에 따라서 가난하다고 생각하고 그게 통념적인 사회의 기준이 될 수 있을까? 월 수익이 낮으면 가난하고 강남에 자기 명의의 주택이 있으면 가난하지 않다는 것일까? 맞는 말이기도 하다. 하지만 가난이나 부는 구체적인 수치보다는 비교 대상과 상대적인 차이에서 온다. 모두가 똑같은 것을 가진다면 가난과 부가 발생될 수 있겠는가. 남들보다 하나 더 가지고 싶은 사람의 욕심에 따라서 부와 가난은 발생할 수밖에 없다. 가난은 한 개인이 자원 없이 지내는 정도라고 한다. 물과 서비스는 살수 있는 재정적 자원이 있고, 정서적 반응을 선택하게 통제할 수 있는 정서적 자원, 지적 자원 영적 자원 등 다양한 자원의 종류가 있다. 이런 모든 것들이 복합적으로 되면서 자신이나 타인을 평가한다. 재정적으로 자산이 상대방이 적어서 가난하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정서적으로 힘겹고 불편하다는 상황과 느낌이...... 더 읽기
댓글 5 개 약 "가난의 대물림은 왜 발생하는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