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과 유대인 중국인의 능력주의 정리.
작은투자자 웹 사이트에서 naver 날짜에 2023-1-24
책내용 첫째, 일반인은 특히 경제나 외교 분야에서 합리적 판단을 내릴 만한 지식이 없다. 이들은 하나같이 멀리 보지 못하고 눈앞의 이익만 좇으며 지혜보다 재미를 선호한다. 잠시 즐겁다가 결국 난관에 부딪히기를 반복한다는 뜻이다. 둘째 민주주의는 나쁜 지도자를 배출하기 때문이다. 보통 민주주의 체제에서 표를 가장 많이 얻는 건 입만 열면 거짓말에 남의 돈으로 유권자를 매수까지 해가며 국가의 미래를 누구보다 환성적으로 엮어내는 사기꾼들이다. 플라톤은 좋은 교육의 혜택을 모두 누리고도 군중을 빛으로 인도하는 대신 이용만 하는 귀족정치가를 특히 신랄히 비판했다. 민주주의의 가장 큰 문제점은 자유를 지나치게 강조한다는 것이다. 덕분에 다양성이 보장되어 적어도 잠시는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잇지만 무정부 상태를 방치하는 사회체제는 곧 와해되고 만다. 아버지는 아들의 이익을, 교사는 제자의 이익을, 인간은 동물의 이익을 좇다 보면 시민들이 상당히 민감해져 지극히 사소한 통제조차 견디지 못하고 폭발할 수 밖에 없다. 이 같은 무정부 상태는 빈곤층이 부유층을 공격하고 부유층은 다시 보복을 가하는 계끕투쟁을 낳아 사람들은 결국 질서...... 더 읽기
댓글 3 개 약 "플라톤과 유대인 중국인의 능력주의 정리."... 더 읽기